오마이뉴스 | 대선 후보 경제 토론으로 분명해진 정책 세가지
관련링크
본문

21대 대통령 선거가 보름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본격적인 선거운동과 함께 대선 후보들 간의 텔레비전 토론회도 시작됐습니다. 사실 이번 대선은 윤석열의 급작스러운 비상계엄과 내란, 대통령 탄핵 때문입니다. 게다가 집권여당 국민의힘은 사상 초유의 '밤샘 후보교체' 논란 속에 뒤늦게 대선 후보가 결정되는 촌극까지 벌였습니다. 반면 야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이재명 대선 후보는 오히려 '중도보수론'을 내세워, 여론조사 1위 후보 자리를 굳히려 하고 있습니다.
특히 현 정부 내내 저성장과 경기침체 우려 속에 정치적 불확실성과 트럼프발 관세 전쟁까지 겹치면서 경제위기가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차기 정부가 오롯이 짊어져야 할 현실입니다. 이번 대선 토론의 첫번째 주제가 '경제'인 것도 이 때문입니다. 이날 토론회 내용도 마찬가지입니다. '저성장 극복과 민생경제 활성화 방안', '트럼프 시대의 통상전략', '국가경쟁력 강화 방안'이었습니다.
물론 이날 토론이 경제에만 집중되진 않았습니다. 지난 12.3 불법 계엄 선포와 이재명 후보의 사법 논란을 둘러싼 정치 관련 공방도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이날 토론은 그동안 논란이 됐던 반도체특별법과 노란봉투법, 일자리와 노동시간, 통상 현안과 해법에 대한 후보들 간의 인식과 해법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였습니다.
우선 경제살리기 해법. 올해 경제성장률이 0%대로 추락하는 등 경제 위기 책임을 두고, 이재명 후보는 김문수 후보를 향해 "대한민국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 0% 성장이 된 데 대해서 윤석열 정권의 주무 장관으로서 책임을 느끼거나 죄송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은가"라고 직격했죠. 김 후보는 "매우 죄송스럽게 생각한다"면서도 "이 후보의 책임도 크다. 우리가 뭐를 하려고 하면 전부 반대하지 않았느냐"고 주장했습니다. 이 후보가 "그만, 그만"이라며 말을 끊으며, 양쪽 간 신경전도 있었습니다.
전체 내용보기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