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전력노동조합

MY MENU

관련뉴스

페이지 정보

WRITER: 최고관리자 /  DATE: 25-05-17 19:49 /  HIT: 1회

오마이뉴스 | 보리밥집 메뉴판 보는 윤석열... 조선시대 같으면 상상도 못할 일

본문

'지역 차별' 하면 박정희 집권기가 떠오르지만, 조선 인조 정권 때의 지역 차별도 대단했다. 1623년 4월 11일(음력 3.12) 광해군을 실각시킨 이 정권은 조선 멸망 때까지 계속될 역사적인 지역 차별을 일으켰다. 이 차별의 피해자는 경상도였다.

광해군시대의 여당은 동인과 서인 중에서 동인에 뿌리를 둔 북인당(북당)이다. 서경덕과 조식을 추종하는 이 당파의 일파인 대북당이 광해군 정권을 이끌었다. 북인당은 송강 정철과 서인당에 대한 강경 대응을 주장하면서 생겨난 당파다.

임진왜란 3년 전인 1589년에 송강 정철과 서인당은 조작 냄새가 짙은 정여립 역모사건(기축옥사)을 키워 집권에 성공했다. 그런데 정철이 1591년에 광해군을 세자로 추천했다가 선조 임금의 미움을 사면서 서인은 여당 지위를 상실했다. 이때 한양 북악산 밑에 사는 동인 이산해 등은 강경 처벌을, 한양 남산 밑에 사는 동인 우성전 등은 온건 대처를 주문했다. 이것이 동인이 남북으로 갈라지는 기원이 됐다는 설이 유력하다.

온건파 영수 유성룡이 남부지방인 경상도 출신이라서 남인이란 명칭이 나왔다는 설도 있지만, 북인당의 핵심 기반도 다름 아닌 경상도였다. 오늘날의 경상남북도 서부는 남명 조식, 동부는 퇴계 이황(남인)을 지지하는 당파의 거점이었다.

서인당과 함께 쿠데타를 일으킨 인조는 전 정권 여당인 북인당을 철저히 짓밟는 데 주력했다. 이는 일반적인 수준을 뛰어넘는 대규모 숙청이었다. 발본색원에 가까웠다.

인조의 할아버지인 선조나 인조의 증손자인 숙종의 사례들에서 나타나듯이, 일반적인 군주들은 권력투쟁에 패배한 당파를 어느 정도 살려두려고 노력했다. 이는 새로운 집권 세력을 견제하는 방편이었다. 그런데 흔히 인조반정(反正)이라는 긍정적 표현으로 불리는 인조 쿠데타 때는 그런 제어 장치가 없었다. 전 정권 인사들을 마구 죽이거나 숙청하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한국계보연구> 2024년 제15권에 실린 박병련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의 논문 '인조정권의 북당 숙청 과정과 해주 정씨 정승(鄭勝)'은 순조 때의 이원조가 쓴 <응와잡록>을 근거로 그 실태를 보여준다. 이 논문은 "북당 숙청의 피바람은 재기의 여지를 주지 않기 위해 계획적이고도 철저했다"라며 "(쿠데타 직후에만) 사형당하거나 죽은 사람 81명을 포함하여 500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숙청되었다"고 기술한다.

이때의 숙청은 악명 높은 수양대군의 숙청보다 가혹했다. 이 논문은 "세조 등극 과정에서 처형되거나 폐고된 가문은 성종의 온건정책과 선조 대의 사림정권이 들어서면서 신원되는 사례가 많았지만, 인조반정에서 처형되거나 몰락한 가문은 조선의 국운이 쇠락한 조선 말에 이르러서야 그 일부가 신원되었다"고 설명한다. 숙청 규모가 광범위했으므로 사면·복권이 꽤 나왔을 법도 하지만, 광해군의 여당에 대해서는 그런 시혜 조치가 인색했던 것이다.

인조 쿠데타, 지금은 상상도 할 수 없는 대규모 숙청

IE003450158_STD.jpg

전체 내용보기
0 Comments

전라남도 나주시 전력로 55   
TEL) 061-345-6013    FAX) 061-345-6004~7
오늘 방문자수 : 776

    노동단체

상단으로